질문과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

댓글로 남겨주세요:)

컴퓨터네트워크 5

SSR vs CSR / 서버사이드렌더링 vs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SSR 서버가 웹 화면을 그리는 주체가 된다. 관련 프레임워크 ex) Next.js, Flask Static Sites 방식에 영감을 얻어 SSR방식이 도입된다.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 모두를 가져와서 서버 안에서 html을 만들고, 만들어진 html 파일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소스코드와 함께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클라이언트로 전달된 html문서는 바로 유저에게 보여줄 수 있게 된다. 통신 과정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 요청을 보냄 서버는 리소스를 확인하고 이를 해석하고 변환하는 컴파일링 과정을 통하여 즉시 렌더링 가능한 HTML 파일을 생성 클라이언트에 전달되는 순간 이미 렌더링 될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즉시 렌더링 이때 JS파일은 읽히기 전 이므로 사이트 자체의 조작은 불가능한 상태 클라이언트가 J..

[컴퓨터네트워크] TCP의 동작/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이전 포스팅을 보시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https://kangee-mohum.tistory.com/19 [컴퓨터네트워크] TCP/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이전 포스팅을 보시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https://kangee-mohum.tistory.com/17 [컴퓨터네트워크]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 전반적인 개념 정리 Transport Layer process to process 통신 레이어. kangee-mohum.tistory.com TCP의 동작 과정 TCP의 연결 설정 1.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쪽에서 서버 쪽으로 메시지를 보낸다. 이때 SYN 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다. 연결하자!라는..

[컴퓨터네트워크] TCP/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이전 포스팅을 보시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https://kangee-mohum.tistory.com/17 [컴퓨터네트워크]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 전반적인 개념 정리 Transport Layer process to process 통신 레이어. 쉽게 말하면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관장하는 레이어이다. process와 process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local host address, local process address , remote host addre kangee-mohum.tistory.com https://kangee-mohum.tistory.com/18 컴퓨터네트워크[컴퓨터네트워크] Transport Layer / 4계층 / ..

컴퓨터네트워크[컴퓨터네트워크] UDP /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이전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https://kangee-mohum.tistory.com/17 [컴퓨터네트워크]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 전반적인 개념 정리 Transport Layer process to process 통신 레이어. 쉽게 말하면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관장하는 레이어이다. process와 process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local host address, local process address , remote host addre kangee-mohum.tistory.com UDP 데이터 전송을 위한 frame을 만들기 위해 탄생한 4 계층 프로토콜 사용자의 앞 뒤 데이터가 서로 상관 없는 dataram을 실어 나르는 ..

[컴퓨터네트워크] Transport Layer / 4계층 / OSI 7 Layer / 전반적인 개념 정리

Transport Layer process to process 통신 레이어. 쉽게 말하면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관장하는 레이어이다. process와 process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local host address, local process address , remote host address, remote process address를 알면 된다. 즉 컴퓨터 1의 주소, 컴퓨터 1 속 프로그램의 주소, 컴퓨터 2의 주소, 컴퓨터 2 속 프로그램의 주소를 알면 된다. 1계층부터 4 계층까지의 통신 과정 1. Data link layer (2 계층)의 frame은 MAC address가 필요하므로 MAC address를 찾는다. 2. Network layer (3계층)은 IP address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