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장 좋은 것 고르기
문제 알아보기
1. 가장 큰 순서대로, 가장 작은 순서대로와 같이 기준을 알게 모르게 제시해준다.
-> 대체로 이 기준은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해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정렬 알고리즘과 같이 짝지어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2. 그리디로 풀 수 있는 문제인지 파악하기
-> 미리 알고리즘을 간단히 계획해보고 그리디로 풀었을 때 최적해를 반환하는지 판단해야 한다.
3. 현재 선택이 이후의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매 순간 최적의 해가 문제 전체의 최적의 해이다.
특징
계산속도가 빠르고 풀이가 간단하다 -> 제한 시간이 짧고 조건이 성립할 때 유용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DP (2) | 2024.05.28 |
---|---|
[알고리즘] 이진탐색 개념 정리 (0) | 2024.05.14 |
[알고리즘]BFS 개념 정리 / 문제 풀이 (0) | 2024.05.02 |
배열 vs 리스트 (c++) (1)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