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독립성이 제공된다. -> 어떤 프로그램을 써도 접근 가능하다. (호환성 좋다)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뜻한다. 자주 변경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가능한 상태를 미리 정의한다. 내포(intension)이라고 부른다.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데이터 베이스 상태: 특정 시점의 데이터베이스 내용 시간에 따라 자주 변경된다. 외연(extension)이라고 부른다. 메타데이터: 내부 데이터에 대한 정보 (ex: 데이터 타입 등)를 담고 있는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DBS)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하드웨어
데이터 베이스는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ex. 디스크 ..)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블록들을 주기억장치로 읽어들여야 한다. 계산이나 비교 연산 등을 위해 CPU가 사용된다.
이후에 나올 DBMS도 주기억 장치에 적재되어 실행된다.
데이터 베이스는 시스템 카탈로그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 구분할 수 있다.
시스템 카탈로그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카탈로그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정보를 유지한다.
쉽게 말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설명이 들어있다.
질의가 발생했을 때 가장 빠르게 데이터를 찾을 수 있도록 계산하기 위한 정보등이 들어있다.